시리즈 마지막. 오늘은 전북부터 마지막 제주까지다. 13) 전북특별자치도 By D6283 - 자작, CC BY-SA 4.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17363462 - 전북도의회 재적은 지역구 36석에 비례대표 4석으로 총 40석이다. - 지금 17개 중 13번째에 와서야 지도에서 새로운 색깔을 보게 됐는데 지역구에서 민주당이 35석을, 그리고 진보당이 순창군선거구에 1석을 차지했다! 보통 지역색이 강한 지역에서는 지역당 vs. 지역당 공천탈락 대비 탈당 무소속 구도가 보통이다. 그런데 진보정당이 지역구 당선자를 배출한 것. - 비례대표에서도 13번째에 와서야 처음으로 정의당 당선자가 1명 나왔다. 정의당의 득표율은 8.52%. 민주당은 71.88% 득표율로 2석, 내란 순장조가 16.43%으로 1석을 가져갔다. - 그래서 정리하면 민주당이 총 37석, 진보당 1석, 정의당 1석, 내란 순장조 1석이었고 현재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탈당 또는 제명 무소속도 없다. 와우. 14) 전라남도 By D6283 - 자작, CC BY-SA 4.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17363461 - 전남도의회는 지역구 55석에 비례대표 6석, 재적 총 61석이다. - 전북에 이어 전남에도 지도에 다른 색깔이 보인다. 장흥군제1선거구와 영광군제2선거구에서 진보당이 2석을 가져갔고 해남군제2선거구에서 무소속 후보가 당선했다. 민주당은 그 외 다른 지역을 석권하여 지역구 52석에서 당선했다. - 비례대표에서는 민주당이 득표율 73.71%로 4석, 정의당이 7.41%로 1석, 내란 순장조가 11.83%로 1석을 당선시켰다. - 그래서 출범 당시에는 민주당이 56석, 진보당 2석, 정의당 1석, 무소속 1석, 내란 순장조 1석 구성이었다. - 지금은 무소속 도의원이 민주당으로 입당하면서 민주당 57석, 진보당 2석,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