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조선이 '의회갑질'이라는 용어를 창조해가며 민주당이 동덕여대 재학생들을 위해 영향력을 행사한 것을 폄훼한 것을 보았다. 얼마나 사회 구석구석 강자만을 감싸시는지 그 세심함에 혀를 내두를 수밖에 없었다. 락카 잘 지워져 용규야... 에바야... 그런데 이번주 국회 일정 소개 때는 잡혀 있지 않아서 소개를 못 했는데 주중에 업데이트 되어서 급히 블루스카이에만 올린 일정이 하나 있었다. 이 면담이 실제로 있은 뒤에 국회에서 나온 보도자료를 보고 있자니 문득 지난 번 홈플러스 청문회가 정무위에서 어땠더라? 하는 생각이 났다. 우선 2025년 3월 11일 국회 정무위는 MBK의 2025년 3월 4일 야밤의 선제적 회생신청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증인을 출석시킬 것을 결의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증인 명단 1번의 김병주 회장은 불출석 사유서를 내고 오지 않았고 아래 네 사람만 출석하였다. 지난 번에 썼던 것 처럼 진짜 국회가 나오라고 할 때 안 나오는 건 너무나 방자한 짓거리다. 심지어 출석요구가 11일이고 출석요구는 18일이었는데 요구 이후에 해외출장 일정을 일부러 13일부터로 잡아서 출국한 게 명백해 보였다. 그래서인지 김병주 회장의 불출석에 대하여 당시 여야는 모두 입을 모아 성토했다. 회의록 2페이지부터 7페이지까지 전부 당시 여야 가릴 것 없이 김병주 회장의 불출석을 성토하며 자료 제출을 요구하는 의사진행발언이다. MBK란 무엇인가. MBK파트너스는 1세대 사모펀드인데 MBK는 다름 아닌 저 회장, 소위 검은 머리 외국인인 마이클 병주 킴의 이니셜이다. 사실 2015년 처음 홈플러스를 인수할 때부터 이런 사태를 걱정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절대 그러지 않을 거라며 10년을 부인하다 결국 이런 상황을 만들었다. 그 10년 사이에 MBK는 꾸준히 부동산 자산을 팔아치우고 REITs를 만들어서 투자금 회수를 계속해오고 있었다. 하지만 황당한 건 인수대금 7조 2천억 원 중 5조 원은 홈플러스 명의로 대출 받은 자금이었다는 것이다. 이런 식인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