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제 폐지 운동을 하고 남편을 호주로 하는 혼인신고를 호주제 폐지 뒤로 미루려고 19년을 사실혼 관계로 산 인권변호사, 고 최진실 배우의 친권 소송을 했던 변호사, 민변의 여성인권위원장이던 진선미 변호사는 제19대 국회 때 생활동반자등록법을 발의한 의원이기도 했다. 그랬던 진선미 의원은 지난 번 민주정부 때 두 번째 여성가족부 장관이었다. 여가부 장관이 되어서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알고 무얼 할 것인지가 명확한 사람. 진선미 의원의 장관 후보자 모두발언을 가져와봤다. 존경하는 전혜숙 여성가족위원회 위원장님, 그리고 위원님 여러분! 바쁘신 의정활동 중에도 인사청문회 준비를 위해 노고를 아끼지 않으신 위원장님과 위원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또한 여성가족부장관후보자로서 역량과 자질을 검증받기 위해 위원님들 앞에 서게 된 것을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저는 오늘 청문회에서 위원님들의 질의에 진솔하고 성실하게 답변드릴 것을 약속드립니다. 그동안 우리 사회는 호주제 폐지, 양성평등기본법, 남녀고용평등법과 같은 법과 제도가 도입되면서 성평등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습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장관급 여성 비율이 30%를 달성하였고 지난해에는 행정부 국가직 여성 공무원 비율이 50%를 넘는 등 여성의 사회 참여와 위상도 높아졌습니다. 또한 한부모가족과 다문화가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위기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여건도 조성하였습니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는 아직도 보이지 않는 차별과 장벽이 여전히 존재 합니다. 성별 임금격차와 유리천장, 독박육아 등 일터와 가정에서의 남녀차별은 여성의 경력 단절로 이어져 우리 사회의 성장동력을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미투 운동에서 비롯된 성희롱·성폭력 문제와 갈수록 심각해지는 디지털 성범죄는 기존의 법과 제도로 대응하기에 분명 한계가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가족과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청소년들에 대한 보다 촘촘한 지원 방안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