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하는 말인데 국회의원이 300명이면 의원실이 300개라는 이야기고 그 각각이 소기업 같아서 국회의원회관이란 소기업 300개가 모인 곳이라고 할 수 있다. 국회의원회관 국회의원실에는 직원이 통상 9명씩 있고 여기에 지역사무실 보좌진이 추가되기도 하지만 그래봤자 10~12명 정도다. 진짜 딱, 소기업이다. '국회의원실에서 일하는 거 어때?' 하고 물으면 일반화해서 말하기가 어렵다. 사기업의 경우에도 같은 업종인 회사라고 해도 회사마다 사장이 다르고 직원이 다 달라서 사풍이 다르듯이 의원실도 의원실마다 운영하는 방식이 다 달라서 예전에 했던 포스팅 에 나온 것처럼 기기괴괴한 썰이 있는가 하면 모두가 수근수근하며 부러워 하는 의원실도 있고 천차만별이다. 아무래도 소기업은 사장이 회사를 좌우하는 면이 큰 바, 의원실이라는 소기업의 사장인 국회의원 중 보좌진의 시각에서 영 파이는 사장님 유형을 몇 가지 꼽아보겠다. 미리 말하건대, 이것은 그 정치인이 어떤 정치인인가와는 사뭇 다른 관점일 수 있다. 1) 고용 불안정 유형 - 유난히 보좌진을 자주 갈아치우는 영감들이 있다. - 상임위가 바뀌면 전문분야의 보좌진으로 교체할 수 있는 거 아니냐? 맞다. 그렇게 하기도 한다. 가령 영감 자체가 직능대표였다든지 진짜 특별한 전문분야가 있어서 정계에 입문했는데 의정생활을 오래하고 지역구도 챙기다보면 한 분야의 상임위만 고집할 수가 없게 된다. 그럼 문외한인 분야의 상임위로 가야 할 때도 있는데 그래도 보좌진의 도움을 받아서 훌륭히 일을 해내야만 한다. 보좌진이 그걸 되게 하는 사람들이다. - 그런데 또 보좌진이라는 역할은 묘한 데가 있어서 전문분야에서 섭외하는 게 좋은 경우도 있지만 원래 그 의원을 보좌하던 팀에서 새로운 상임위에 대해서 업무를 파악하고 정보를 습득해서 일을 하는 것이 나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왜냐하면 부처별 특성이 있는 것은 맞지만 공무원이 일하는 방식은 관료제 체계 안에서 크게 다르지 않은 것도 사실이기 때...